다시 쓰는 상고사[한단고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9 06:28
본문
Download : 다시 쓰는 상고사[한단고기].hwp
Download : 다시 쓰는 상고사[한단고기].hwp( 16 )
설명
다시 쓰는 상고사[한단고기]
,인문사회,레포트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1.gif)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2.gif)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3.gif)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4.gif)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5.gif)
![다시%20쓰는%20상고사[한단고기]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B%A4%EC%8B%9C%20%EC%93%B0%EB%8A%94%20%EC%83%81%EA%B3%A0%EC%82%AC%5B%ED%95%9C%EB%8B%A8%EA%B3%A0%EA%B8%B0%5D_hwp_06.gif)
Ⅰ. 서론
Ⅱ. 본론
1. 상고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한단고기
1.1 한단고기
1.2 한단고기의 논란
1.2.1 부정적 측면
1.2.2 긍정적 측면
1.3 한단고기 출현의 의의
2. 상고사의 화두 - 단군
2.1 단군의 어원
2.2 단군의 관념
2.3 왜곡된 history(역사)
3. 다시 쓰는 상고사
3.1 한인과 구석기시대
3.2 한웅과 신석기시대
13.3 단군과 청동기시대
Ⅲ. conclusion(결론)
*참고사이트·reference
Ⅰ.서론
“단군은 한 사람이 아니었다”
각 신문마다 헤드라인으로 장식된 《한단고기》에 대해 처음 알게되었을 때 그 신기함과 놀라움 그리고 약간의 당혹스러움과 함께 처음 된 필자의 《한단고기》에 대한 관심은, 단군의 존재에 대한 고정관념과 타성에 젖어있었을 필자의 history(역사) 관을 되돌아보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에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상고사를《한단고기》의 내용을 수렴하는 것을 기준으로, 먼저 최근 상고사에 대한 높은 관심과 연구를 이끌어내고 있는 《한단고기》가 과연 무엇인지 그 궁금증부터 풀고, 《한단…(drop)
다시쓰는상고사[한단고기]
다시쓰는상고사[한단고기] , 다시 쓰는 상고사[한단고기]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또한 《한단고기》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단군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한글과 꼭 닮은 가림토 문자와 태고문자인 녹도 문자로, 우리민족은 세계 최초로 문자를 발명한 민족이 되고, 더 크게는 최초로 문명국가를 세운 민족이자, china(중국) 과 아시아 각국에 문명을 전파한 민족이 된다
신화로만 여겨왔던 “상고사”가 수세기 전에 정말 있었단 말인가. 그렇다면 우리는 “상고사”를 다시 써야 한다.
한단고기.
대체 어떤 내용의 history(역사) 서 길래 이토록 식을 줄 모르는 논란을 부르는가?
한단고기에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history(역사) 와는 전혀 다른 history(역사) 가 기록되어 있따
그것은 다름 아닌 단군의 존재와 함께 신화 속의 가공의 시간으로 알고있던 “한국상고사(고조선)”가 우리의 유구한 history(역사) 의 찬란한 처음 이었음을 밝혀주는 최초의 문헌이란 것이다. 이렇게 엄청난 파문과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한단고기》에 관심이 집중되는 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최근 history(역사) 학계를 비롯하여 사회전반에 걸쳐 가장 큰 이슈가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한단고기》의 출현은, 사학자들과 재야사학들간의 비난과 환호를 동시에 낳고 있고, pc통신과 누리망 을 뜨겁게 달구고 있으며, 신문은 물론이고 TV 뉴스를 비롯하여, 얼마 전엔 KBS history(역사) 스페셜이라는 저명한 호로그램에서도 각종 논란을 감수하고 방영하기에 이르렀으며 최근 조선대 내에도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 듯 단군상이 건립되는 것을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