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13:40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hwp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欲)’ 이렇게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단(四端)은 맹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정이 으로 인간의 4가지 착한 본성, 순수한 선(善)을 말한다. ‘예기(禮記)’에서 처음으로 다뤄진 이 정이 은 인간의 7가지 감정을 말하며, 완전한 선(善)인 사단(四端)과는 달리 칠정(七情) 은 유선유악(有善有惡)으로써 선악이 섞여있는 상태이다. 이황의 경우는 각각 리와 기에 분리 소속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하려 했다면, 기대승의 경우는 분리를 인정하지 않은 선에서 해결점을 모색했다.
Download :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hwp( 14 )
.
순서
사양지심(辭讓之心) :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하는 마음, 즉 남을 공경하고 사양하는 마음
시비지심(是非之心) : 지(智)에서 우러나는 시비를 따지려는 마음,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능력
2. 사단칠정론의 배경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기론적(理氣論的) 해석을 중심으로 한 학설. 사칠론(四七論)이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측은지심(惻隱之心) :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 즉 곤경에 처한 사람을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다. 하지만 성리학자들이 문제 삼는 것 은 대체로 ‘중용(中庸)’에서 언급한 희(喜)·노(怒)·애(哀)·락(樂)의 네 가지 감정을 의미한 다.
.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report - 사단칠정 논쟁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수오지심(羞惡之心) : 의(義)에서 우러나는 부끄러워하는 마음, 즉 외롭지 못한 일에 상대하여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마지막으로, 심성(心性)론은 사람의 마음을 철학적으로 說明(설명) 한 theory 이다. 심성론에서는 성(性)과 정(情)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성(性)은 인, 의, 예, 지를 지칭하고, 정(情)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지칭한다. 네 가지로 나누든 일곱 가지로 나누든 인간의 감정 일반을 통칭했다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레포트 - 사단칠정 논쟁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보고서 - 사단칠정 논쟁
칠정(七情)은 사단(四端)과는 차원이 다른 감정이다. 여기서, 기대승과 이황의 논지는 사단과 칠정이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느냐 하는 데서 갈라진다. 주로 심성(心性)을 하나로 보는 일원론과 심(心)과 성(性)을 두개로 나눈 이원론으로 입장이 나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사단칠정 논쟁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입장의 차이에서 시작되었다. 물론 양자 간에 정이 적인 차이는 없다.
이 논쟁은 주자학의 심성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problem(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